반응형
1. 양촌 전촌에 전갑섬이 오매 한촌에 말이 났소.
나는 싫소. 나는 싫소. 피방아 찧기가 나는 싫소.
2. 양촌 전촌에 전갑섬이 별안대 이촌에 말이 났소.
나는 싫소. 나는 싫소. 밭일하기가 나는 싫소.
3. 양촌 전촌에 전갑섬이 해안 전촌에 말이 났소.
나는 좋아요. 나는 좋아. 해안 퉁소가 나는 좋아.
에헤야 에헤야 에헤야 에헤야
위 노랫말은 함경도 북청지방에서 전해 내려온 토속 민요 <전갑섬 타령>이다.
'전갑섬'은 북청군 신북청면 신북청리에 있는 전씨 집성촌인 양천마을의 처녀이다.
전갑섬이란 처녀가 이 동네, 저 동네에서 혼삿말이 나오고 있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다른 곳은 시집가기 싫고 퉁소가 있는 마을에서 혼삿말이 나오자, 해안 전촌 마을 퉁소 잘 부는 총각에게 시집가고 싶다는 내용이다.
그만큼 함경도에서는 퉁소라고 하는 악기가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노랫말이다.
반응형
'싱싱한 국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에 등장한 ‘판소리’의 아름다움-심청가 중 '추월만정' (2) | 2024.12.16 |
---|---|
정통 동편제 소리꾼 한농선 명창 (1) | 2024.12.16 |
망치같이 생긴 전통 현악기 <해금> (0) | 2024.09.01 |
판소리계에서 보기 드문 지식인 동초제의 창시자 판소리 명창 김연수 (1) | 2024.07.13 |
🌿옛 산꾼들이 즐겨 부른 산노래 "개나리 고개" (0) | 2024.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