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PXKdn/btrnC2AFglL/KXNbPdDj7HatlgLYp3K0KK/img.jpg)
남문을 열고 파루를 치니 계명 산천이 밝아온다/ (후렴) 에 에헤 에야 얼럴럴거리고 방아로다 에
을축 사월 갑자일에 경복궁을 이룩하세/ (후렴)
우광쿵쾅 소리가 웬 소리냐 경복궁 짓는 데 회(灰)방아 찧는 소리다/ (후렴)
조선 여덟도 유명한 돌은 경복궁 짓는 데 주춧돌감이로다/ (후렴)
경복궁 역사가 언제나 끝나 그리던 가속(家屬)을 만나나 볼까/ (후렴)
수락산 떨어져 도봉이 생기고 북악산 줄기에 경복궁 짓네/ (후렴)
위 노랫말은 서울 지역의 민요인 '경복궁 타령'으로 고종 집권 초기에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에 생겨난 민요로 알려져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AgWT5/btrnA40RuSx/azb7qlfoCSUEQZMBwDWPK0/img.jpg)
선소리(여럿이 서서 부르는 노래)의 하나로서 경복궁을 중건할 당시에 노역 인부들의 수고스러움을 잊기 위한 노래이기도 하다.
또 노래에서처럼 힘든 노동에 대한 불만이 포함된 가사를 경쾌하고 흥겹게 노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rpCsu/btrnAYzJ1Ww/1ZTY63z8h7O9oEFuDJMv91/img.jpg)
경복궁은 1592년 임진왜란 때에 병화로 소실된 후 273년 동안 복구되지 않다가 1865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건되었다.
특히 경복궁 중건 계획을 발표하여 7년여의 긴 세월 동안 여러 가지 우여곡절 끝에 중건된 경복궁 인만큼 그 당시 이에 대해서 귀천을 막론하고 원망의 소리가 자자하였다.
심지어는 도편수나 석수장이 등이 나타나 사설이 궁하면 대원군을 비방하며 아무 말이나 지껄여댔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q9pCh/btrnAjRGpcr/pvW6hoH0YG1ZTekRur5Go1/img.jpg)
워낙 큰 역사(役事)이고 보니 부역도 그렇거니와 돈이 많이 들었던 모양이다.
공사에 착수할 무렵인 4월은 농번기임에도 3만5000여 명을 동원했고, 공사 재원 마련을 위해 발행한 원납전과 당백전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졌다. 도성을 출입하는 사람에게 통행세를 걷어 민심이 악화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df4CUO/btrnBr9h28q/BZ8UUzifBPDvdlfBJ9Sdek/img.jpg)
원하노니 내 귀가 어두어져서 원납소리 안듣기 소원이로다
처음에는 돈 있고 넉넉한 사람에게 경복궁 중건 비용을 자진해서 바치라고 생긴 원납(願納/ 지금의 헌금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었지만, 나중에는 원납전이 원해서 내는 돈인가, 원망하며 내는 돈인가? 있고 없고를 가리지 않고 사뭇 강제로 빼앗아 가듯 백성의 재물을 털어갔다.
![](https://blog.kakaocdn.net/dn/bi0qop/btrnBhezHXl/hcC9zDXXBK18lre2k9oA41/img.jpg)
그래서 경복궁역사(役事)에 시달리다 못한 백성들이 '차라리 귀라도 먹어서 원납소리를 안 들었으면' 하며 이 노래를 통해 그 신세를 한탄했다고 전해진다.
경복궁 타령 감상하기
'싱싱한 국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문화원연합회, 노동의 시름을 극복하게 해준 지역별 노동요 소개 (0) | 2021.12.15 |
---|---|
"판소리 유파" 에 관한 짧은 정리 (0) | 2021.12.10 |
오봉산에서 보내는 하루를 묘사한 경기 민요 '오봉산타령' (0) | 2021.12.08 |
몽금포의 풍경을 담은 서도민요 '몽금포타령' (0) | 2021.12.08 |
신고산 타령, 유래 알면 더욱더 재밌습니다. (0) | 2021.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