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00ba2143d583234e.html 옛날 고향을 그리워하는 병사들을 울린 관악기 '퉁소'에 관한 짧은 정리
본문 바로가기

싱싱한 국악 이야기

옛날 고향을 그리워하는 병사들을 울린 관악기 '퉁소'에 관한 짧은 정리

반응형

퉁소 연주(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 이생강 명인)

퉁소는 세로로 부는 악기로 단소와 모양은 같으나 굵기는 대금과 같고 음의 폭이 커서 저음의 소리를 가장 장엄하게 표출할 수 있으므로 민속악에서 독주악기로 쓰인다.

 

지공이 5공(뒤 1공, 앞 4공)인데, 대금처럼 취구와 지공 사이에 청공이 있다. 또 오늘날 민속악에서 전해 내려오는 퉁소는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북청사자놀이 반주 음악에 사용되고 있는 퉁소로, 실내보다는 야외에서 주로 공연하기 때문에 길이가 약 72cm 이상이며 손가락 잡는 법도 다르다. 또한, 산조용 퉁소보다 길며 음역이 매우 낮고 4명이 함께 같은 곡으로 반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하나는 산조용 퉁소인데, 길이가 짧고 음역이 높으며 음색 자체도 좀 더 정제된 느낌을 준다. 경상도와 강원도 지역의 메나리 곡이나 경기 남부, 충청도, 전라도 지역의 시나위, 산조곡 등의 연주에 독주악기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퉁소 소리는 구성지고 한이 깃들어 있는 게 특색이다. 옛날 전쟁터에서 고향의 처자식을 그리워하는 병사들이 밤마다 처량하고 애달픈 퉁소 소리를 듣고 전의를 상실하여 고향으로 뿔뿔이 흩어졌다는 고사가 전해질 정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