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퉁소는 세로로 부는 악기로 단소와 모양은 같으나 굵기는 대금과 같고 음의 폭이 커서 저음의 소리를 가장 장엄하게 표출할 수 있으므로 민속악에서 독주악기로 쓰인다.
지공이 5공(뒤 1공, 앞 4공)인데, 대금처럼 취구와 지공 사이에 청공이 있다. 또 오늘날 민속악에서 전해 내려오는 퉁소는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북청사자놀이 반주 음악에 사용되고 있는 퉁소로, 실내보다는 야외에서 주로 공연하기 때문에 길이가 약 72cm 이상이며 손가락 잡는 법도 다르다. 또한, 산조용 퉁소보다 길며 음역이 매우 낮고 4명이 함께 같은 곡으로 반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하나는 산조용 퉁소인데, 길이가 짧고 음역이 높으며 음색 자체도 좀 더 정제된 느낌을 준다. 경상도와 강원도 지역의 메나리 곡이나 경기 남부, 충청도, 전라도 지역의 시나위, 산조곡 등의 연주에 독주악기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퉁소 소리는 구성지고 한이 깃들어 있는 게 특색이다. 옛날 전쟁터에서 고향의 처자식을 그리워하는 병사들이 밤마다 처량하고 애달픈 퉁소 소리를 듣고 전의를 상실하여 고향으로 뿔뿔이 흩어졌다는 고사가 전해질 정도다.
반응형
'싱싱한 국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진도의 장례 풍습 '진도 다시래기' (1) | 2024.01.24 |
---|---|
역동적이며 신명 나는 '버꾸춤'에 관한 짧은 정리 (1) | 2023.12.16 |
한국 전통음악 대표적인 기악 독주곡 ‘산조’에 관한 짧은 정리 (0) | 2023.09.30 |
줄 위에서 이야기와 발림 섞어 노는 줄타기 놀이 (0) | 2023.08.06 |
남사당놀이의 연희 ’버나놀이‘를 아시나요? (0) | 2023.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