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슬비가 소리도 없이 이별 슬픈 부산정거장 / 잘 가세요 잘 있어요 눈물의 기적이 운다 / 한 많은 피난살이 설움도 많아 / 그래도 잊지 못할 판잣집이여 / 경상도 사투리의 아가씨가 슬피 우네 / 이별의 부산정거장
서울 가는 십이 열차에 기대앉은 젊은 나그네 / 시름없이 내다보는 창밖에 등불이 존다 / 쓰라린 피난살이 지나고 보니 / 그래도 끊지 못할 순정 때문에 / 기적도 목이 메여 소리 높이 우는구나 / 이별의 부산정거장
가기 전에 떠나기 전에 하고 싶은 말 한마디를 / 유리창에 그려 보는 그 마음 안타까워라 / 고향에 가시거든 잊지를 말고 / 한두 자 봄소식을 전해 주소서 / 몸부림치는 몸을 뿌리치고 떠나가는 / 이별의 부산정거장 (1954, 유호(호동아) 작사, 박시춘 작곡)
위 노랫말은 한국 전쟁이 끝난 뒤 서울로 돌아가는 환도 행렬의 한순간을 포착해 낸 시대의 스냅과 같은 작품 남인수의 '이별의 부산정거장'이다.
오랜 전쟁 속에서 겪었던 피난살이에 드디어 종지부를 찍고 환도와 환고향, 이별의 희비가 교차하는 시대적 분위기를 담아 큰 반향을 얻은 노래이다.
가사 내용은 전쟁 직후 낯선 부산 땅에서 판잣집 피난살이를 마치고 피란지에서의 추억을 간직한 채 열차를 타고 부산을 떠나면서 부산역(부산정거장)에서 이별을 맞는 순간을 애절하게 묘사한 것이다.
박시춘 작곡, 유호 작사의 노래로 한국전 휴전 이듬해인 1954년 가요황제 남인수의 목소리로 세상에 알려졌다.
1953년 통일의 소리는 빈 메아리가 되어갈 무렵 당시 부산역에는 200만 피란민이 고향과 새로운 터전을 찾아 환도 열차에 몸을 싣고 피난지에서의 아련한 추억을 새기며 떠나는 정경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피난지 부산 삼 년의 세월은 한 많고 설움도 많았지만, 그 역경의 시절에도 아름다운 꽃은 피었고 짜릿한 사랑의 추억도, 피난 올 땐 없던 아이를 둘러업고 열차에 오르는 아낙네의 모습, 홀로 피난와서 거기서 결혼하고 부부가 되어 떠나는 사람, 그 모든 사연이 부산에 남아있었기에 당시 모든 사람은 이 노래를 즐겨 불렀고, 부르다 눈물을 짓기도 했다.
특히 몸부림치며 이별하고 기적마저 슬퍼 우는 가사 내용과는 달리 노랫가락은 빠르고 경쾌하여 희망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해준다.
1961년 엄심호 감독은 이 노래 제목으로 최무룡·김지미를 주연으로 내세워 멜로 영화를 만들었다.
6·25전쟁 중 유부남 법학도 김진오(최무룡)는 처자식을 서울에 남겨두고 부산으로 와서 부산 처녀인 기생 정채옥(김지미)의 도움을 받게 된다.
어느덧 두 사람 사이에는 연정이 싹트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는 처자식을 두고 온몸으로써 그녀를 사랑할 형편이 못 되었다.
드디어 전황이 호전돼 서울이 수복되고 진오는 부산을 떠나야 할 상황을 맞는데…. 부산역에 마주 서게 된 두 사람은 서로의 행복을 빌어주며 뜨거운 눈물 속에 작별을 고하는데 이 작별의 순간에 ‘이별의 부산정거장’이 흘러나온다.
이 노래는 음반 판매고 10만여 장을 훌쩍 넘기는 대기록을 세우며 1950년대 내내 깨지지 않았던 것으로 전한다. 전쟁 기간 동안 잠시 침묵했던 '가요 황제' 남인수의 건재함을 다시 확인시켜 준 곡 이기도하다.
▶ 남인수 '이별의 부산정거장' 감상하기
▶ 조명섭 '이별의 부산정거장' 감상하기
'대한민국을 빛낸 유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달재의 사연과 서글픈 전설을 품은 노래, 박재홍 '울고 넘는 박달재' (0) | 2022.01.30 |
---|---|
작사가 반야월의 가슴 아픈 가족사가 서려 있는 노래, 이해연 ‘단장의 미아리고개’ (0) | 2022.01.29 |
마도로스의 사랑을 그린 박경원 '이별의 인천항' (0) | 2022.01.28 |
6·25전쟁 이후 국민의 지친 심신을 달래준 노래, 박재홍 '물방아 도는 내력' (0) | 2022.01.27 |
여름 노래의 대명사, 안다성의 '바닷가에서' (0) | 2022.01.25 |